맨위로가기

K1A 기관단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1A 기관단총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여 1982년부터 보급된 기관단총으로, K2 소총 개발 중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요청에 의해 M3 기관단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초기 모델인 K1은 반동, 소음, 섬광 등의 문제로 인해 소염기를 개량한 K1A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K1A가 주력으로 사용된다. K1A는 M16 소총과 유사한 가스 직동식 작동 방식을 사용하며, 5.56×45mm NATO 탄약 대신 KM193탄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국군을 비롯하여 인도네시아, 세네갈, 칠레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 중이며, SNT 모티브 STC16(K13) 카빈으로 부분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기관단총 - K7 소음기관단총
    K7 소음기관단총은 SNT모티브와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하여 2000년에 완료된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의 요청으로 개발된 기관단총이며, 9mm 파라벨럼탄을 사용하고 K1A의 부품을 활용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기술 유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기관단총 - XK9 기관단총
    XK9 기관단총은 9mm 루거 탄약을 사용하며, XK9C(XK10)는 무게가 가볍고 전장이 짧으며 개머리판이 접히는 변형 모델이다.
  • 대우 돌격소총 - K2 소총
    K2 소총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고 S&T 모티브에서 생산한 대한민국의 제식소총으로, M16A1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5.56×45mm NATO탄을 사용하고 가스 피스톤 방식을 채용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 대우 돌격소총 - K11 복합형소총
    S&T모티브에서 개발한 K11 복합 소총은 20mm 공중폭발탄과 5.56mm 소총탄을 사용하는 차세대 복합화기였으나, 결함과 논란으로 2019년 사업이 종료되며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문제점을 드러낸 사례로 남았다.
K1A 기관단총
제원
대우 정밀 K1A
대우 정밀 K1A
종류돌격소총
카빈
원산지대한민국
사용 기간1981년–현재
사용 주체사용자 참고
참전페르시아 만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14년)
이라크 전쟁
설계국방과학연구소
대우 정밀
설계 시기1977–1982년
제조사국방부 조병창 (1980–1981년)
대우 정밀 공업 (1981–1999년)
대우 통신 (1999–2002년)
대우 정밀 (2002–2006년)
S&T 대우 (2006–2012년)
S&T 모티브 (2012–2021년)
SNT 모티브 (2021년–현재)
다산기공 (2016년–현재)
생산 기간1980년–현재
생산량180,000정
파생형파생형 참고
규격
무게2.87 kg (탄창 제외)
길이838 mm (개머리판 연장 시)
653 mm (개머리판 수축 시)
총열 길이263 mm
작동 방식
탄약.223 레밍턴 (2014년 이전 생산)
5.56×45mm NATO (2014년 이후 생산)
구경5.56 mm
작동 방식가스 작동식, 회전 노리쇠 (직접 충격식)
발사 속도750–900 발/분
총구 속도820 m/s (KM193)
790 m/s (K100)
유효 사거리250 m (KM193)
400 m (K100)
급탄 방식다양한 STANAG 탄창
조준 장치가늠쇠
기타 정보
기관단총 (한국어)기관단총

2. 역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K2 소총 개발을 진행하던 중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가 M3 기관단총을 대체할 신형 기관단총 개발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1981년 K1 기관단총이 개발되었으나, 반동이 심하고 화염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소염기를 개량한 K1A가 1982년부터 보급되었다.[5]

DI RIS 레일을 장착한 K1A를 든 대한민국 해병대원.


K1A는 동인광학(DI Optical)에서 제작한 PVS-4K 레일 통합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 차세대 보병 사업인 "워리어 플랫폼"의 잠재적 후보로도 거론된다.[5]

2014년부터는 새로 생산되거나 수리된 K1A에 5.56×45mm NATO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총열이 적용되었다. D.I (Dong In) Optical과 MITS에서 개발한 다양한 RIS 시스템은 주로 특전사 부대에 소량 지급되었다.[5]

2. 1. 개발 배경

1976년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M3 기관단총을 대체할 신형 화기 개발을 국방과학연구소(ADD)에 요청했다. 이는 1972년부터 시작된 M16A1의 국산화 대체 계획인 XB 소총 사업의 일환이었다.[5]

국방과학연구소는 XB 소총 계획에 따라 신형 기관단총 개발에 착수했으며, 특전사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았다.[5]

요구사항
휴대성, 경량화
가성비
국산화
기존 기관단총보다 강력한 화력



국방과학연구소는 M16을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하여, 1980년에 시제품을 완성하고 1981년에 '''K1 기관단총'''으로 제식 채용했다. M16의 개머리판 내부에 있던 리코일 스프링은 상부 리시버 내부로 이동되었고, 상부의 캐링 핸들은 제거되어 M16보다 소형화되었다.[5]

2. 2. 초기 모델 (K1)

국방과학연구소에서 K2 소총 개발 중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의 M3 기관단총 대체 신형 기관단총 개발 요청으로 1981년 K1 기관단총이 나왔다.[5] 1976년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는 노후화된 M3 기관단총을 대체할 새로운 무기를 요청했고, 1977년 국방과학연구소는 M16A1 국산화 대체 계획인 XB 소총에서 파생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5] 특전사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기관단총은 더 강력한 화력, 경량화, 비용 효율성, 예비 부품 수급 용이성을 갖춰야 했다.[5] 1980년에 첫 번째 시제품이 제작되었고, 1981년에 실전 배치되었다.[5]

일련번호 1번 K1


그러나 초기 모델은 화력 증가로 인해 과도한 반동, 소음, 섬광, 약한 개머리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특히 야간 작전 시 조준에 어려움을 초래했다.

K1은 1981년에 군에 채용되었지만, 초기형 소염기 (초기 분대 지원 화기에 사용된 나팔형 형상)에 문제가 있어, 배치 후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 반동이 크고, 개머리판도 취약
  • 발사음, 발사광 모두 과대
  • 야간전에 적을 계속 조준하기 어려움

2. 3. 개선 모델 (K1A)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의 M3 기관단총 대체 요구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K2 소총 개발 중 K1 기관단총이 개발되었다. 1981년 K1이 나왔으나, 반동이 심하고 화염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1982년부터 소염기를 개량한 K1A가 보급되었다.[5]

초기 K1은 소염기 설계 문제로 인해 과도한 반동, 소음, 섬광, 약한 개머리판 등의 문제점을 보였다. 특히 야간 작전 시 조준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새로운 소염기 개발 및 채택으로 단점이 해결되었다. 새로운 소염기는 우상방으로 3개의 구멍을 뚫어 총구 들림을 억제하고 섬광을 초기 K1의 1/3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1982년 K1A 생산이 시작되었고, 기존 K1은 K1A 표준으로 개조되었다.

개량된 K1A는 효과적인 사격을 위한 3점사 기구가 추가되었고, 리시버(기관부) 상부에 피카티니 레일을 갖추어 각종 조준경 및 액세서리의 탈착이 용이해졌다.

3. 설계

K1A 기관단총은 M16 소총과 유사한 회전 노리쇠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가스 직동식으로 작동한다. 초기형 K1은 나팔형 소염기를 사용했으나, K1A는 이를 개량한 총구앙등억제 소염기를 채택하여 화염, 소음, 반동을 줄였다. 또한, 3점사 기구가 도입되었고 야간 사격 시 조준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었다.

M3 그리스건과 유사하게 굵은 철사로 만들어진 인입식 개머리판은 연발 사격 시 지지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충분한 힘으로 견착하면 집탄성에 문제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특공연대 대대 병력의 사격 성공률이 일반 사단의 M16 사격 성공률을 능가한 경우도 있었다.

초기형 K1은 KM193탄 전용으로 설계되어 K100(SS109)탄 사용 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2010년대부터는 K100탄을 사용해도 정확도에 영향이 없는 신형 총열로 교체되고 있다.[5]

3. 1. 기술적 특징

K1A는 M16 소총처럼 가스 튜브를 사용하는 가스 직동식으로 작동하지만, 장전 손잡이가 노리쇠 뭉치에 직접 달려 있어 노리쇠 전진기가 필요없다. 탄피 배출 방식은 AK 시리즈처럼 고정된 차개로 탄피를 튕겨내는 방식이다. M16 소총과 유사한 회전 노리쇠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발사 모드 제어 방식도 M16 소총과 유사하다. 노리쇠 뭉치노리쇠는 M16과 매우 유사하지만, 서로 바꿔서 사용할 수는 없다.

K1A는 12인치 당 1회전하는 강선을 가지고 있어 KM193탄 전용이며, NATO의 신형 표준탄인 5.56 × 45 mm NATO (FN SS109, 한국군 제식명칭 K100, 미군 제식 명칭 M855)에는 적절하지 않다. K1A는 K1의 나팔형 소염기를 개량한 총구앙등억제 소염기를 채택하여 화염은 1/3 정도로 감소하였고 소음 및 반동도 감소하였다. 개량된 소염기는 우상방으로 3개의 구멍이 있어 총구의 앙등을 억제한다. 또한 3점사 기구가 도입되었고, 야간 사격 시 조준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었다.[5] 초기형은 결합부가 튼튼하지 않아 사격 중에 몸통이 분해되면서 노리쇠가 사수의 얼굴로 튀어 오르는 일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힌지에 풀림방지 고리가 추가되었다.

굵은 철사로 만들어진 인입식 개머리판은 M3 그리스건의 개머리판과 유사한데, 연발 사격 시 지지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충분한 힘으로 견착할 경우 집탄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3. 2. K1A와 K2 비교


  • K1A는 K2 소총보다 먼저 개발되었다.[6]
  • K1A는 가스 직동식을 사용하고, K2 소총AK-47과 유사한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한다.[6]
  • K1A는 .223 레밍턴탄(KM193)에 최적화된 12인치당 1회전 강선을 가졌고, K2 소총5.56 × 45 mm NATO탄(K100)에 최적화된 7.3인치당 1회전 강선을 가졌다.[6]
  • 작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K1A와 K2 소총는 아랫몸통을 제외한 주요 부품이 호환되지 않는다.
  • K1A는 K100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K100탄을 사용해도 정확도에 영향이 없는 신형 총열로 교체되고 있다.[21]

4. 변형


  • XK1: 시험용 시제품이다.
  • K1: 최초 양산형. 모든 K1은 K1A 규격으로 개량되었다.
  • K1A: 성능이 향상된 두 번째 양산형 모델이다.
  • K1A1/MAX-1/AR-110C: 5.56×45mm NATO탄을 사용하는 K1A의 수출용 반자동 버전으로, 국가 화기법의 총열 및 전체 길이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16인치 연장 총열과 개머리판이 장착되었다.[20]

4. 1. 수출형

.223 레밍턴 탄약을 사용하는 K1A 기관단총의 수출형으로 MAX-1과 MAX-2가 존재한다.[20] MAX-1, AR-110C는 미국으로 수출된 민간용 반자동 모델이다. 외국에서 K1A를 K1A1으로 부르는 사례도 있다.

Defense Asia 2006 전시회에 등장한 K1A 기관단총

5. 운용 현황

대한민국 국군은 K1A를 제식 기관단총으로 육군 수색대, 포병, 장갑병, 부사관, 해병대, 청와대 경호처, 통신병 등에게 지급한다. 통신병은 보직에 따라 K2 소총을 지급받기도 한다.[1] 2020년대 이후 STC16/K13 카빈 등 신형 기관단총으로 부분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16]

5. 1. 사용자

국가사용 기관
대한민국대한민국 국군 제식 기관단총으로 육군 수색대원, 포병, 장갑병, 부사관, 해병대, 청와대 경호처, 통신병 등에 지급된다. 통신병의 경우 보직에 따라 K2 소총을 지급받기도 한다.[1] STC16/K13 카빈으로 부분적으로 대체될 예정이다.[16]
인도네시아해군 특수부대[15]
세네갈군 (2003년에 280정 수령)[18]
칠레해병대 특수부대
캄보디아특수부대 (137정)[13][14]
파푸아뉴기니[17]
싱가포르(2019년 SIPRI 소형 무기 보고서에 따르면 855정 판매)[14]


5. 2. 대체

S&T 모티브 K2C는 K2 소총의 개량형 카빈 버전으로,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에 시험용으로 제공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5]

2020년 6월 13일, 특수전사령부는 DSAR15PC가 K1A 카빈을 대체할 새로운 제식 카빈으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DSAR15P는 CAR 816 및 기타 AR-15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카빈 버전은 약 29.21cm 길이의 총열과 3kg의 무게를 가진다. 처음에는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해 1,000 정의 카빈이 인도될 예정이었으며, 2023년까지 15,000 정의 카빈이 인도될 예정이었다.[7][8] 그러나 2021년 7월 14일, 회사 임원의 군사 기밀 누설로 인해 DSAR15PC 도입이 취소되었다고 발표되었다.[9]

2023년 10월, SNT 모티브(구 대우정밀)는 STC16(K13)이 K1A를 부분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1,710 정의 카빈을 납품하는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2형 사업에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K13은 5.56×45mm 탄을 사용하는 숏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의 카빈으로, 무게는 3 kg이며 292 mm 프리 플로팅 배럴을 갖추고 있다. STC16과 DSAP-15는 K1A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해 추가로 16,000 정의 카빈을 납품하는 1형 사업에서 다시 경쟁하게 된다.[16][10][11] K13의 배치는 2024년 2월에 시작되었지만, 발사 중 탄피 폭발 문제가 발생했다.[12]

6. 대중 문화

K1A 기관단총은 여러 대중 매체에 등장한다.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K1A 기관단총을 찾아볼 수 있다.

6. 1. 영화 및 드라마

로보캅 2에서 경찰이 드럼탄창을 장착한 K1A를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1] 디트로이트 경찰의 경찰관들이 M16과 Steyr AUG와 함께 사용한다.[4]

엽기적인 그녀에서 탈영병이 K1A를 가지고 있는 장면이 나온다.[2] 뒷 장면에선 탈영병의 총이 M4 카빈 프롭건으로 바뀌는데, 이는 영화에 등장한 K1A 소품이 에어건이어서 공포탄을 발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2]

반도에서는 민정이가 K1A를 장비하고 있으며, 좀비와 적대적인 민병 집단 631부대에 사용한다.[3]

6. 2. 게임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제707특수임무대대 소속 방어 오퍼레이터 "비질" 화철경의 주무장 중 하나로 등장한다.[1] 로블록스의 팬텀포스와 프로젝트 라자로에도 등장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201003140001071.pdf http://www.asianmili[...] 2010-06-18
[2] 웹사이트 South Korea's DAPA selects DSAR-15PC carbine variant for RoKA's Special Warfare Command https://www.janes.co[...] 2022-01-15
[3] 웹사이트 Business Outline, Defense Business http://www.sntdaewoo[...] S&T Daewoo 2010-07-01
[4] 뉴스 E-Catalog http://www.sntdaewoo[...] 2016-12-00
[5] 웹사이트 Show Report: DX Korea 2018 https://www.sadefens[...] 2019-02-12
[6] 웹사이트 Daewoo K1 http://www.riflesngu[...] Rifles n Guns 2008-10-30
[7] 웹사이트 South Korea Special Forces select Dasan Machineries DSAR15P as future assault rifle https://www.armyreco[...] 2020-06-16
[8] 웹사이트 South Korea Selects DSAR-15PC Carbine for RoKA’s Special Warfare Command https://www.thefirea[...] 2020-06-18
[9] 웹사이트 [단독]'기밀유출'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결국 개발 중단 https://n.news.naver[...] 2024-02-04
[10] 웹사이트 Show Report: ADEX 2023 https://sadefensejou[...] 2023-12-11
[11] 웹사이트 SNT Motiv http://sntmotiv.com/ 2024-02-04
[12] 웹사이트 신형 K-13 기관단총 ‘사격중 탄환 폭발’ 잇따라 발생…인명피해는 없어 https://news.kbs.co.[...] 2024-05-19
[13] 웹사이트 캄보디아 군대가 도입한 한국제군장비 http://bemil.chosun.[...]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mallarms[...] 2022-01-15
[15] 웹사이트 Indonesian Air Force #TNIAU Military Police NCOs armed with 🇰🇷 Daewoo K1 carbines during their recent inauguration ceremony process in Yogyakarta https://twitter.com/[...] 2024-07-30
[16] 웹사이트 SNT Motiv Presents K13 Carbine at Seoul ADEX 2023 https://sadefensejou[...] 2023-10-13
[17] 뉴스 [S&T모티브] 국군 소총 국산화 이어 중동·중남미 등 수출도 http://news.mk.co.kr[...] 2014-11-23
[18] 웹사이트 ID No. 195149 http://article.joins[...] 2012-11-30
[19] 웹사이트 Daewoo K1 http://www.riflesngu[...] Rifles n Guns 2008-10-30
[20] 웹사이트 Daewoo K2 assault rifle and K1 assault carbine http://world.guns.ru[...] 2008-10-30
[21] 웹사이트 http://bemil.chosu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